성림사 |
성림사(成林寺)는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에 자리한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종교
>불교
>절,사찰
|
|
|
|
연 락 처 |
043-536-4617
|
홈페이지 |
http://www.sungrimsa.com/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산수리 산98 |
도로명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인화길 83 성림사
|
부가정보 |
|
영업시간 |
입력된 정보없음
|
카테고리 |
종교
> 불교
> 절,사찰
|
|
|

성림사(成林寺)는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에 자리한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이다. 오래전부터 성림사가 자리한 곳은 진천 제일의 명당으로 이름이나 있었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1960년대 쯤 한 노인이 전국을 순회하는 어느 지관(地官)으로부터 고기록(古記錄)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지관은 진천의 불처당(佛處堂)이라는 이곳을 다녀갔는데 바로 성림사 자리가 문무목상(文武牧相)이 날 곳이라는 이야기를 하며 적어주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이 있은 뒤 1965년에 전해산(全海山) 스님이 고려시대 조성된 마애여래좌상만 덩그러니 남아있는 터에 새로 절을 창건하니 오늘날 성림사(成林寺)이다. 해산스님께서 지관의 계시(啓示) 때문에 누군가가 무덤을 쓰려는 것을 막고, 쓸쓸하게 폐허를 지키고 있는 부처님(마애여래좌상)을 공양하기 위해 창건이라는 원력(願力)을 세우신 것이며, 해산 스님의 창건이후 40여 년이 지난 지금 성림사는 혜묵스님에 이르러 다시 한 번 중창되었다.
[진천산수리마애여래좌상]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20호(1998년 1월 9일 지정)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아미타불좌상으로 하반신을 조각하지 않은 특이한 형태의 불상이다. 양 팔뚝의 대의 옷 주름선, 화불의 모습이 특이하며 전체적으로 당당하면서도 매우 부드럽고 원만한 인상 등 진천지역 불교 조각의 일면을 잘 보여주는 불상이다.이 불상은 광배(光背)까지 하나의 돌로 만든 큰 불상이다. 진천지방에서 산견(散見) 되는 대부분의 석불이 큰 불상인 점에서 이 석불도 그러한 유행의 소작(所作)이라고 볼 수있다. 머리는 관모(冠帽)를 썼으며 얼굴은 살이 많이 쪘고 눈과 코의 일부는 마멸되었다. 귀는 크고 길게하여 어깨까지 가까이 닿게 하였으며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넓은 어깨에 통견의(通絹衣)가 걸쳐 있고 법의(法衣)는 비교적 두껍게 표현되었다. 오른손과 왼손은 손가락을 접어 내장(內掌)하여 모두 가슴에 대고 있는 모습이고 광배는 배의 모양으로 되었으며 머리 위로 삼구(三軀)의 화불(化佛)을 연줄기 무늬위에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무릎 아래의 표현은 현재 사찰측이 목조로 예배단을 조성하여 알 수 없으나 사찰측의 설명으로는 좌상(坐像)으로 별다른 조각이 없다는 것이다. 불상의 형식과 성림사 주변에서 흔하게 눈에 띄는 기와 조각등으로 보아 고려중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불상의 실측치는 두고(頭高) 68㎝, 이장(耳長) 36㎝, 견폭(肩幅) 84㎝, 수장(手帳) 33㎝, 수폭(手幅) 29㎝, 화불고(化佛高) 25㎝, 두께 60㎝이다. * 시대 - 고려시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위치, 한국불교태고종 소개, 납골당 문의 안내. 한국불교태고종에 소속된 사찰이다. 옛 문헌에는 절 이름이 나오지 않으나 발굴된 유물을 보면 고려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 전해산(全海山)이 옛 절터에 법당과 요사를 짓고 절 이름을 성림사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전과 요사 2동 등이 있다. 이 중 극락전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내부에 석조여래좌상과 지장탱화·신중탱화·산신탱화·동종 등이 있다. 요사 1동에서는 매년 여름과 겨울에 어린이불교학교가 문을 연다. 1950년대 말에 절 근처 숲에서 발굴된 진천 산수리 마애여래좌상은 현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데, 불상이 새겨진 바위 전체를 법당 안에 들여 놓았다.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나 심하게 닳아 얼굴과 오른쪽 어깨, 왼쪽 손 등을 시멘트로 덧칠하였다. 광배에 있는 화불(化佛)은 심하게 닳았고 뒷면에도 뚜렷하지 않은 화불 3구가 있다. 불상이 서쪽을 향하고 있어 아미타불로 보이며, 고려 초기의 불상 양식을 따랐다. 1998년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20호로 지정되었다. 절 앞의 밭에서 기와·토기·자기 파편들이 많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전성기 때에는 꽤 큰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된 상품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동영상 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지하철 정보가 없습니다.
|
|
|

주변버스
메산리
|
-
- 농어촌
-
진천-광혜원
,
진천-꽃동내.무극
,
진천-무극
,
진천-오갑리
,
진천-통동
|
매산리
|
-
- 농어촌
-
감곡-생극.무극
,
대소-무극
,
무극-꽃동내.진천
,
무극-유포.부윤
,
삼성-무극
,
음성-무극
,
진천-오갑리
,
진천-통동
|
지역상권
시간대별 유동인구 |
男10대 |
男20대 |
男30대 |
男40대 |
男50대 |
女10대 |
女20대 |
女30대 |
女40대 |
女50대 |
12시~13시까지(주중)
|
11명 |
22명 |
13명 |
15명 |
10명 |
2명 |
35명 |
19명 |
16명 |
12명 |
19시~20시까지(주중)
|
31명 |
42명 |
19명 |
14명 |
9명 |
3명 |
38명 |
39명 |
35명 |
24명 |
12시~13시까지(주말)
|
42명 |
30명 |
21명 |
16명 |
13명 |
42명 |
40명 |
42명 |
16명 |
11명 |
19시~20시까지(주말)
|
68명 |
21명 |
16명 |
16명 |
9명 |
82명 |
32명 |
41명 |
11명 |
8명 |
실내뷰
등록된 실내 정보가 없습니다.


near by
 |
|
이용하신 업체의 후기를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욕설 및 상업적인 광고등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