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사 |
길상사는 진천 도당산에 있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한 흥무대왕 김유신의 ..
종교
>불교
>절,사찰
|
|
|
|
연 락 처 |
043-539-3835
|
홈페이지 |
입력된 정보없음
|
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508 |
도로명주소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진로 1411-38 길상사
|
부가정보 |
|
영업시간 |
입력된 정보없음
|
카테고리 |
종교
> 불교
> 절,사찰
|
|
|

길상사는 진천 도당산에 있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한 흥무대왕 김유신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진천현 산천조와 사묘조에 "신라진평왕시 만로군태수 김서현처만명 임신 20월생 자왈유신 장태어현15리 화위신 인위태령산 자신라시 치사우춘추강향축행제 고려잉지지 본조 태조 8년 시정지 영소재관치제"라하여 신라 때부터 장군의 태가 묻힌 태령산 아래 사당을 건립하고 국행제를 지내오다가 조선 태종 8년부터 관행제로 치제하였다. 그 뒤 임진 병자양란시 병화를 입어 폐허가 된 것을 철종 2년(1851) 백곡 가죽리에 죽계사 자리에 계양묘를 건립하였으나 1926년에 도당산에 길상사를 재건하고 1959년에 개축하였는데 1975년에 정화하여 길상사를 전면 신축하였다.
본전은 "흥무전"으로 콘크리트조 와즙, 정면 5간, 측면 2간, 주심포 8작집인데 그 안에 영정을 모시고 있으며, 바깥 뜰에는 1957년 세운 "흥무대왕신성비" <이선근이 글을 만들고 김만희 씀> 와 안뜰에는 1976년에 세운 "김유신장군사적비" <이 은상 글 김충현 씀> 그리고 입구에는 같은 해에 세운 "길상사중건사적비" <조건상 글 이상복 씀>가 있다. 김유신은 만로군 태수 김서현의 아들로 진천에서 출생. 진평왕 31년에 화랑이 되고 낭비성 싸움에 공을 세워 압량주 군주가 되었다. 선덕여왕 때 상장군이 되었고 진덕여왕 때는 백제 12성을 함락하여 상주행군대총관에 오르고 무열왕 7년 상대등으로 당군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키고 나당 연합군의 대총관이 되어 고구려를 정벌하고 태대각간이 되었으며 한수 이북의 고구려 땅을 수복 삼국 통일의 위업을 완수하였고 흥덕왕 때에는 흥무대왕으로 추봉되었다. * 시대 - 통일신라시대 * 관리 - 진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에 있는 김유신 장군의 사당. 1975년 2월 21일 충청북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김유신(金庾信:595~673)의 위패와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원래 길상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신라시대부터 김유신의 태(胎)가 묻힌 태령산 아래 사당을 건립하고 나라에서 제를 지내오다가 1399년(태종 8)부터 관행제(官行祭)로 제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어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사당이 소실되자 1851년(철종 2)에 정재경, 박명순(朴命淳) 등이 백곡면 가죽리에 죽계사(竹溪祠)라는 이름으로 사당을 재건하여 조감과 함께 장군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1864년(고종 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죽계사가 철거된 이후 진천읍 벽암리 소흘산(所訖山) 아래 서발한(舒發翰)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사당을 짓고 계속 제향하였으나 1922년 홍수로 유실되었다. 1926년에 후손인 김만희(金萬熙)의 주선으로 현재의 위치인 벽암리 도당산성(都堂山城) 안에 길상사를 건립하였다. 6·25전쟁 때 심하게 파손되어 중수하였고 1976년 사적지 정화사업의 일환으로 전면 신축되어 현재에 이른다. 김유신은 만노군(萬弩郡:충북 진천) 태수였던 김서현(金舒玄)과 만명부인(萬明夫人) 사이에서 태어나 673년(문무왕 13)에 79세로 별세한 신라의 명장이다. 후일 삼국통일의 이룩한 공으로 835년(흥덕왕 10)에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존되고 경주의 서악서원(西嶽書院)에 배향되었다. 그의 묘(사적 21)는 경북 경주시 충효동에 있다.입구의 홍살문과 본전인 흥무전(興武殿)을 비롯한 관리사·내삼문·협문 2동 등 총 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흥무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에 팔작지붕을 올린 주심포집으로 벽면과 기단 등을 콘크리트로 지은 현대식 목조건물이다. 안에는 장우성(張遇聖)이 그린 가로 98cm, 세로 187cm의 영정이 있는데 1976년 11월 5일에 봉안된 것이다. 그 밖에 뒤뜰에 흥무대왕신성비, 안뜰에 김유신장군사적비, 입구에 길상사중건사적비 등이 있다.진천군에는 길상사 이외에도 장군의 여러 유적들이 있는데 장군의 태를 묻은 태령산의 김유신태실 및 돌담(충북기념물 108), 탄생지인 상계리의 김유신장군유허지(충북기념물 79) 등이 있다. 특히 탄생지와 태실을 포함한 상계리 일대의 129필지가 1999년 6월 11일 사적 제414호로 지정되어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등록된 상품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동영상 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지하철 정보가 없습니다.
|
|
|

주변버스
길상사
|
-
- 일반
-
711
,
714
-
- 농어촌
-
진천-연곡리
,
진천-지암
|
길상사
|
|
길상사
|
-
- 일반
-
711
,
714
-
- 농어촌
-
진천-연곡리
,
진천-지암
|
길상사
|
|
교성리
|
|
교성리
|
|
지역상권
시간대별 유동인구 |
男10대 |
男20대 |
男30대 |
男40대 |
男50대 |
女10대 |
女20대 |
女30대 |
女40대 |
女50대 |
12시~13시까지(주중)
|
11명 |
22명 |
13명 |
15명 |
10명 |
2명 |
35명 |
19명 |
16명 |
12명 |
19시~20시까지(주중)
|
31명 |
42명 |
19명 |
14명 |
9명 |
3명 |
38명 |
39명 |
35명 |
24명 |
12시~13시까지(주말)
|
42명 |
30명 |
21명 |
16명 |
13명 |
42명 |
40명 |
42명 |
16명 |
11명 |
19시~20시까지(주말)
|
68명 |
21명 |
16명 |
16명 |
9명 |
82명 |
32명 |
41명 |
11명 |
8명 |
실내뷰
등록된 실내 정보가 없습니다.


near by
 |
|
이용하신 업체의 후기를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욕설 및 상업적인 광고등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
|
|
|
|
|
|
|